Search

Dashboard

쿠버네티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있다. 서버 원시적인 제어는 원격접속
쿠버네티스 대시보드처럼 손으로 타이핑하는 명령어 등을 웹기반으로 보여줄 수 있다. 그래프나 도형형식으로 보여준다.
대시보드는 default로 쿠버네티스에 들어가있지 않아서 설치해야한다
미니쿠베가 손쉽게 해준다 하지만 필드에 나가면 어렵다 따로 설치 필요
쿠버네티스에 대시보드 설치하려면 helm설치해야함.
쿠버네티스용 패키지 관리자. real machine위에 멀티노드로 클러스터 구축한다면 어려울텐데 helm으로 쿠버네티스 추가기능 설치해야한다.
대시보드는 오픈소스로 열려있고 웹서버로서 화면에 ui보여준다. go로 서버짰고 프론트는 ts로 짰다.
cron 리눅스는 유닉스 카피 유닉스는 태생이 서버
유닉스는 어떤 프로그램 설치하지 않아도 스케줄러를 운영체제가 내장하고 있다
운영체제가 부팅할때마다 로드해서 매번 주기적으로 할 행동을 해준다
deployment, replicaset, pod들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은 control panel
yaml파일을 업데이트해서 pod을 수정하는것이 맞지만 급하면 실제 실행중인 yaml을 마구잡이로 고칠수도 있다
실행중인 pod의 상태를 바꿀수 있다. 좋지는 않지만
pod을 죽이면 그림으로 만든것일뿐 타이핑한것과 똑같은 작업을 해줌
주황색 = pending desired state를 벗어났다 pod이
pod이 속한 replica도 desired반영 못하고 있으니 주황색
deployment도 주황색으로 바뀐다
실시간으로 상황을 눈으로 파악할 수 있다
deployment가 2/3만 살아있다고 보여주고
죽었으니 새로 만들어준다. 컨테이너가 새로 create된다
deployment를 scale한다
3개 running 3개 pending으로 바뀌고 반영되면 다시 전부 running
pod이 3개가 더 만들어진다
edit메뉴를 누르면 yaml이 뜬다. class컨셉하고 비슷하다는걸 알수있는게
쿠버네티스도 마찬가지로 uid 등이 들어있다 바꾸고 싶으면 바꾸면 된다
apply를 다시한다는 의미. 덮어쓰는거다
원래 프로그래밍에서 절대 쓰지 말라고 하는게 goto
함수라는 개념이 없었을때 반복적으로 해야하는 것은 반복작업 시작되는 시작지점으로 갔고 그때 만들어진게 goto
줄번호가 없어지고 함수개념 생긴 c++에도 있다 줄번호는 없어졌지만 label을 쓴다
깨끗하게 다시 시작하는 경우는 없고 누더기처럼 하다가 문제가 발생할때까지
스파게티를 만든다. 덮어쓰는건 좋지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일이 벌어지는게 어쩔수없이 있으니 쿠버네티스는 그렇게 제공한다
특정 pod을 찍어서 상태도 볼 수 있다
클러스터에 노드 하나 찍어서 구멍을 뚫었다 expose 손으로 명령 쳤던거 서비스 ingress에 뜬다. my-nodeport는 서비스이다
포트번호와 통신 프로토콜까지 알려준다
minikube service my-nodeport —url에서 노드에 구멍 뚫었었고
어쨌든 가상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만들어져서 events에 가게 되면 직접 만들지는 않았지만 무슨일이 벌어졌는지에 대한 로그 보여줌 이 로그들이 어디로 가는데
데이터베이스 안으로 간다. 스토리지에 저장하는건 아주 단편적으로 고객정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가 만들어진 서비스가 제대로 돌아가고 있는지 문제가 있는지 문제가 벌어진 이유를 알수있는 흔적 등 많은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빠른 속도로 디스크에 저장된다 네트워크를 가로질러서. 로그정보이다
네트워크나 서버에서 인공지능이 개입하면 학습해서 인간이 무슨짓을 해서 죽었는지를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는 노드들의 묶음. 노드에서 minikube가 있다 가짜 클러스터를 만들어서 동작하고 있고 가짜여서 보여주지는 않지만 상한같은걸 볼수있다 cpu
쿠버네티스에 desired state전달하고 결과를 실시간으로 대시보드에서 볼 수 있다.
저걸 그냥 쓰느냐 그렇지 않다 오픈소스로 공개되어있어서 서비스가 진행되고있는데 scale down하면 죽어버리라는건가? 운영하는 입장에서 뭐가 안에있는지 관심없다고 하면 안되니까 어플리케이션 안에 있는 정보가 어우러져야하고 scale down하면 날리는건데 누구를 날리냐 기다렸다가 서비스 종결되는 애들을 하나하나 없애야지
대시보드가 어플리케이션 설명없으니 실제 회사에서 쓰기는 어렵다
kubernetes dashboard alternative
노드들 안에 무슨 기능이 들어가있는지 보여주는 등
어디서 무엇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나 cpu상태 메모리 상태 컨테이너가 뭐고 등을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대부분의 회사는 독자적으로 대시보드를 개발한다
대시보드를 개발하는 팀이 있다. 서비스를 제대로 돌아가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
kubenav 모바일 앱으로 할수있다. 브라우저로 서버 접속하는것보다 앱으로 접속하는게 훨씬 안정적인 프로토콜이 많고 휴대폰은 휴대가 편하므로
쿠버네티스도 gui가 있다 아무튼!
근데 잘 안쓴다 기능이 부족해서! 컨테이너 안에 뭐가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봐야해서
대시보드를 만들어서 쓴다.
컨테이너 띄우고 로그 데이터베이스로 보내라고 하고 대시보드로 보여주는 프로젝트 서버에 관심있으면 해볼것 대시보드 오픈소스 수정해서
ibm이 최적화해주는 서비스도 있다. 가장 적은수의 노드와 클러스터로 용량을 뽑아낼 수 있도록해준다.